[우영이형의 안내]
건축학교 시즌2 첫번째는
네델란드 건축가 렘 콜하스(Rem Koolhaas 1944 - )의
[서울대학교 미술관] 입니다.
건축의 물성이 자연과 도시에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보게 되는 곳입니다.
이곳을 첫번째 코스로 잡은 이유가 있습니다.
우리가 좀더 적극적으로 건축을 마주하고 싶었기 때문입니다.
대체 이 친구는 여기서 이런 표정으로
내게 무슨말을 하고 싶었던 것일까. 그의 이야기를 듣고,
그렇게 공간으로 빨려 들어가면 알게 됩니다.
이번 토요일 아침에 여러분과 함께
그가 전하는 이야기를 나누겠습니다.
[댄비의 후기]
서울대학교 미술관 -램 콜하스-
책에 독자의 역할이 있듯
건축물에는 보는 사람의 역할이 있다
공간 속으로 한 걸음 더
2025.4.5. [댄비건축학교] 시즌 2. 첫 번째 날
[아용 후기]
뚱뚱한 건물 뒤꽁무니에서부터 쭈욱 올라오는 순간부터, 안으로 들어가서도 계속 어디론가 이어지고 오르락 내리락 구석구석 다니는 기분이 너무 좋았어요. 풍경이 계속 달라지고, 벽? 마감?도 콘크리트 였다가 트러스가 보이는 나무 벽이었다가, 아크릴 판이었다가. 계속 바뀌고 연결되는 풍경과 공간감이 지루할 새가 없이 계속 두리번 거리게 했어요. 버섯 머리를 구석구석 돌아다니다 내려온 후, 버섯 기둥 아래에서 비도 안 맞고 관악산을 바라보는 풍경이란! 
[비코 후기]
키다리 아저씨 댄비 
[꽃이피다 후기]
건축기행 시즌 2
첫번째 시간도 역시나 감동이었어요.
순대국 뒤풀이 마저도 감동!
전 승부 보고 들어가는데 영화마저
감동이었어요.
단 한컷 후기는 감동들을 좀 다스리고 올릴게요 ^^
남은휴일 평안히 보내세요 
[우영이형 후기]
나의 결정적 장면을 위해
꽃이피다님 사진을 한장 훔치기로 했습니다.
아무도 눈길주지 않는 소화전이죠.
처음부터 건축가의 책상에서 스케치로 태어났는지 아니면 미술관이 완공되고서 대학을 갓줄업한 어떤 청춘의 오바였는지 저는 알지못합니다.
큰 관심도 없습니다.
다만 저는 그 장면을 상상합니다.
이미 컨셉대로 도면은 완성 되었을테고 건축가는 버릇대로 또 뭐가 부족한가 싶었을테지요. 그러다 문득 눈에 들어온 소화전이 신경 쓰였을지 모릅니다.
아니면 정말 그 신입사원 이었을지도요. 여기 소화전 어떻게 할까요? 사각 콘크리트 박스로 그려서 보내줘. 어쩌면 그 대답으로 밤새 혼자 수많은 책을 찾아 봤을지도 모르겠습니다.
미술관 건물을 이렇게 담담하게 유머러스하게 담아낸 소화전 박스를 보다니요.
세상 모든 진심은 이렇게 사소한 곳에서 나타나는 건지도요. 60이 넘은 건축가의 손끝이든 이제막 서른이 된 파릇한 건축가의 손끝이든 그날, 어떤 날의 진심을 보게 됩니다.
[아녜스 후기]
건축학교 시즌 2의 첫 시간,
벚꽃 만개한 봄을 걸어 미술관으로 들어갈 줄 알았는데 아침부터 비가 추적추적 내렸다.
웬걸. 이런 비쯤이야, 아랑곳하지 않고 우영이 형의 원래 계획대로 비 내리는 야외 우산 속에 모두 모였다. 공중에 떠 있는 건물의 외관 설명을 들으며 우리는 조금씩 안으로 공략하며 깊숙한 구조 안으로 들어갔다.
그동안 건축 학교에서 방문한 많은 건축물 중에서도 오랫동안 기억에 남을 이 공간.
공간을 짓는 사람, 경험하는 사람, 주체도 객체도 건물도 사람도 하나로 어우러질 수 있는 공간이라고 해야 할까? 공간 속에 흩뿌려진 우리가 공간과 하나가 된 듯했다.
그렇게 모두가 모든 곳으로 통하는 그런 공간이었을까. 건축가 혼자의 외침이나 잘난 척도 없이, 다 이해하지 못해도 건축물과 방문자가 교감할 수 있는 공간으로 느껴졌다.
우영이 형의 시즌 2는 시즌 1보다 더 하나하나 세심하게 느낄 수 있도록 기획되었다. 아, 물성과 자연과 사람이 안과 밖에 없이 어울리는 공간을 조금 더 깊게 경험하고자 했던 시즌 2의 의도가 이런 거였구나, 좀 저격된 느낌 ㅎㅎ
빗속에서 함께한 우리들의 토요일 오전은 서울대입구 중앙시장 작은 식당에서 순댓국과 김치전으로 마무리.
[지니의 후기]
1기 건축학교에서는 공간에 들어가서 느끼는 여러 감동에 집중 했다면
2기 건축학교에서는 공간의 감동과 이 건물이 이렇게 들어서는 이유와 구조를 풀어내어 적극적으로 건축을 마주하고 싶었다고 한다.
네델란드 건축가 렘 콜하우스 _ 서울대학교 미술관
산으로 둘러싸여 있는 서울대학교의 출입문은 단 한 곳(정문) 뿐이라고 한다.
하수상한 시절 탓이라고…
그 때는 그런 이유로 그렇게 공간 구성이 되어 있었다지만 렘 콜하우스의 눈에는 모든것이 안타까웠었나보다.
건축의 물성이 도시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소통없이 꽉 막히고 단절된 캠퍼스가 아닌 지역사회와 연결되고 소통하는 공간이 되어 사람들이 쉽게 접근할수 있도록 설계해 도로에서 학교로 진입할때 돌아가지 않는 지름길 통행로가 되었다고 한다.
지름길 통행로를 위한 지면은 사람들에게 양보하고 도깨비 방망이를 세워 둔 형태, 버섯 형태 같은 건물이 디자인 되었고 가분수 건물의 무게를 견딜수 있도록 트러스 구조로 건축 되었다고 했다.
건축의 물성이 자연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우영이형은 운동장으로 걸어가다보면 미술관과 관악산의 능선이 맞아 떨어지고 있다고 했다.
다만, 마음 먹고 볼 수 있는 사람만 볼수 있다고 했다.
그렇다면 우영이 형이 표현한 자연에 반응한 건축물의 물성이라 표현한게 이 포인트 였을까요?
그렇다면 나는!
처음 가본 서울대, 남들도 잘 모르고 있다는 서울대 미술관.
미술관 내부는 너무 깨끗하고, 확 트여 있고 오르락, 내리락 신기한 구조에 작은 창문으로 찔끔 보여 눈에 박히는 풍경, 저절로 공부가 될것 같은 강의실 두 곳.
이렇게 멋스럽고 감동적인데 심지어 트러스 구조로 안전하다고 하니 더 좋네~
….마음 먹고 볼 수 있는 사람은 볼 수 있다지만…. 내겐 너무 어려워서….
2기 건축학교에서 마음 먹고 볼 수 있는 사람으로 성장하기를 기대해 보아요^^